콘텐츠의 크리에이티브 요소와 지각된 콘텐츠 속성 따른 비교효과 연구- 유튜브 뷰티 콘텐츠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OOH광고학회 | 한국OOH광고학회 | 29 pages| 2017.09.19| 파일형태 :
조회 1882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새로운 콘텐츠 생산 그룹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와와 그들이 생산하고 있는 콘텐츠의 유형과 그에 따른 광고효과에 주목하였으며, 콘텐츠의 영상 크리에이티브 요소, 소비자 반응 요소, 지각된 콘텐츠 속성이 실제 콘텐츠의 고유 속성에 따라 수용자들의 인식과 태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영상 콘텐츠의 크리에이티브 요소, 소비자 반응 요소, 지각된 콘텐츠 요소, 제품태도, 콘텐츠태도에 따른 차이를 실제로도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영상 간에 크리에이티브 요소 중 ‘제품정보’ 요소, 소비자 선호 반응 요소, 지각된 콘텐츠 요소, 제품태도, 콘텐츠태도에서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통해 같은 제품이 노출되는 영상의 경우에도 다르게 지각한 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크리에이티브 요인과 소비자 선호 반응, 소비자의 지각된 콘텐츠 속성, 제품과 콘텐츠 태도가 콘텐츠 유형에 따라 그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며, 새로운 콘텐츠인 크리에이티브 요소, 소비자 선호 반응 그리고 소비자의 지각된 콘텐츠 속성과 제품과 콘텐츠 태도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새로운 광고유형에 대한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reative effect of the creative content creator and the content that they produce. The research problem to be tried is the image creative element, consumer preference response element, perceived content attribut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images that are judged to have different intrinsic properties of the actual cont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 of all research measur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imaging types. However, in the case of visual creative elements, image expression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ndicates that consumers actually perceive the differences in the creative factors, consumer response factors, perceived content factors, product attitudes, and content attitudes that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In particular, it is presumed that the images of the same product are perceived differently b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duct information’ element, the consumer preference response element, the perceived content element, the product attitude, and the content attitude And that these factors can be important variables. This study suggests that creative factors, consumer preference reaction, perceived content attributes of consumers, product and content attitud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content types, and new contents such as creative factors, consumer preference responses, and consumer perceived content attributes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new ad types that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and content attitud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미디어 콘텐츠 크리에이티브 요소 소비자 선호 반응 요소 지각된 콘텐츠 속성 media cotents creative elements consumer preference response elements perceived content attribute elements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OOH광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